※ 보다가 무슨 내용인지 모르겠으면 음악구조 용어 정리 순서대로 보세요.
훅 (Hook)이 랩/힙합 장르에서 후렴구의 역할을 맡는다면 팝과 발라드 같은 다양한 장르에서는 코러스가 그 위치를 차지한다. 훅은 코러스와 성격이 같기 때문에 같은 것이라고 봐도 된다. 코러스는 훅 말고도 사비, 하이라이트 등 다양하게 불린다. 그도 그럴것이 노래를 들을 때 가장 인상깊은 부분이기 때문에 그것을 부르는 이름이 많은 듯 하다. 음악구조 용어같은 것을 모르는 사람들은 하이라이트 부분, 제일 신나는 부분 정도로 표현한다. 틀린말은 아니지 ㅎㅎ 아무튼, 위치상으로는 보통은 벌스 뒤에 위치하지만 프리코러스 뒤에 위치하는 경우도 많다. 코러스가 자주 반복되고 코러스를 강조하는 곡들은 첫번째 벌스 앞, 인트로 부분에 코러스를 먼저 두는 경우도 있다. 카멜라 카베요의 Havana가 그러하다. 보통 팝송들에서는 제목이 코러스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만큼 코러스는 팝송에서 큰 위치를 차지한다.
몇가지 노래를 들어보면서 알아보자.
Marron5 - Sugar
마룬5는 이 때까지는 밴드음악을 했었다. 아무튼 아래는 <Sugar>의 가사다. 코러스 부분은 글자색 배경 회색으로 강조해 놓겠다.
I'm hurting baby, I'm broken down
I need your loving, loving I need it now
When I'm without you, I'm something weak
You got me begging, begging I'm on my knees
[Pre-Chorus]
I don't wanna be needing your love
I just wanna be deep in your love
And it's killing me when you're away
Ooh baby
Cause I really don't care where you are
I just wanna be there where you are
And I gotta get one little taste
[Chorus]
Sugar, yes please
Would you come and put it down on me
I'm right here, cause I need
Little love, a little sympathy
Yeah you show me good loving, make it alright
Need a little sweetness in my life
Your sugar, yes please
Would you come and put it down on me
[Verse 2]
Babe, my broken pieces, you pick them up
Don't leave me hanging, hanging come give me some
When I'm without you, I'm so insecure
You are the one thing, one thing I'm living for
(뒤의 가사는 후략)
이 노래의 경우에는 프리 코러스 뒤에 코러스가 위치해 있다. 프리 코러스가 뭔지는 다음 게시글에서 알아보자.
코러스에 노래 제목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제일 신나는 부분이다. 누군가가 <Sugar>에서 가장 신나는 부분을 불러 보라 한다면 이견없이 모두 회색칠한 부분을 흥얼거릴 것이다. 코러스는 팝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코러스만 살려도 노래 절반은 완성한다.
모모랜드 - 뿜뿜
모모랜드의 <뿜뿜>이다. 아래는 가사고 코러스 부분에 회색칠 해놓았다.
설레어 너와 나의 랑데뷰
(랑데뷰)
내 마음을 들었다 놨다 해 맘대루
(맘대루)
지금 내 눈엔 눈엔 눈엔
네 어깨 무릎 발 (Oh)
숨이 탁 막힐 것 같아 난 너만 보면
[Verse2]
wow wow
정신을 또 놔 놔 네 매력에
난 난 놀라게 돼 또
(Hit it Hit it Hit it HO)
우우우 무슨 말이 필요해 넌
숨이 콱 막힐 것 같아
[Pre-Chorus]
자꾸만 봐 자꾸 와
이제 나만 보게 될 거야
너를 들었다 놓을 거야
넌 점점 더 Fall in love
[Chorus]
Give it to you
My 눈눈눈눈눈눈 눈빛
쏟아지는 My 터터터터터터 터치
하나뿐인 My 럽럽럽럽럽 My Luver
내 머리부터 뿜뿜
내 발끝까지 뿜뿜 뿜뿜 어
[Post-Chorus]
Just feel it 뿜뿜
네 앞에서 난 뿜뿜
네게 줄게 뿜뿜 뿜뿜 어
[Verse3]
지금 보고 있는 게 꿈은 아닐 걸
Wake Up Wake Up
땡땡이치고 날 만나게 될 걸
Take off Take off
매력을 야 뿜어뿜어뿜어뿜어
보여줄게 Pic up the phone
Now or Never Pick up Pick up
[Verse4]
wow wow 정신없이
쿵 쿵 내 마음을 뿜 뿜 사정없이
또 (Hit it Hit it Hit it HO)
우우우 여기서 뭘 어떻게 더
낮이나 밤이나 빛이나 미쳤나봐
[Pre-Chorus]
떨리지 막 떨려와
이제 나만 생각 날 거야
밤에 잠도 잘 못 잘 거야
점점 더 Fall in love
[Chorus]
Give it to you
My 눈눈눈눈눈눈 눈빛
쏟아지는 My 터터터터터터 터치
하나뿐인 My 럽럽럽럽럽 My Luver
내 머리부터 뿜뿜
내 발끝까지 뿜뿜 뿜뿜 어
[Bridge]
우 너만 보면 너만 보면
내 가슴이 뿜뿜뿜뿜
우 자꾸 봐도 자꾸 봐도
내 가슴이 쿵쿵쿵쿵
[Chorus]
Give it to you My 눈눈눈눈눈눈 눈빛
쏟아지는 My 터터터터터터 터치
하나뿐인 My 럽럽럽럽럽 My Luver
내 머리부터 뿜뿜
내 발끝까지 뿜뿜 뿜뿜 어
[Post-Chorus]
Just feel it 뿜뿜
네 앞에서 난 뿜뿜
네게 줄게 뿜뿜 뿜뿜 어
코러스 부분은 가사가 변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프리 코러스와 포스트 코러스 부분 또한 보통 가사가 변형되지 않지만 <뿜뿜>에서는 프리 코러스의 가사가 변형되었다. 사실 음악구조라는 것이 누군가 정의를 내려놓은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항상 지켜질 수 없는 것이다. 작곡가나 작사가 마음대로 바뀔 수 있다. 각설하고, 위에서 <Sugar>처럼 이 노래 또한 코러스 부분이 가장 신난다. 모든 코러스 부분이 그렇기 의도되었기 때문이기도 하고.. 춤출 때도 코러스 부분이 제일 재밌고 임팩트가 있다. ( 개인적으로 이 노래는 벌스 부분도 참 재밌다고 생각한다.)
아무튼 코러스 부분은 제일 재밌고 제일 흥겹고 음악적으로 흥겨우라고 설계되었고 계속 반복되는 구절이면서 대부분의 팝은 이 부분에 집중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코러스 부분을 의식하면서 듣다보면 어떤 팝을 듣더라도 아 이 부분이 코러스겠구나ㅡ 하고 자동적으로 알아챌 수 있게 된다. 많이 들어보자.
'Música > [음악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악상식] 음악구조 용어 정리 #3 : 훅 (Hook) (0) | 2018.01.28 |
---|---|
[음악상식] 음악구조 용어 정리 #2 : 벌스 (Verse) (0) | 2018.01.27 |
[음악상식] 음악구조 용어 정리 #1 : 인트로(Intro) (1) | 2018.01.27 |